[ipn뉴스 ] 4세기대 신라 찰갑(札甲)이 완전한 형태로 영동지역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찰갑은 작은 미늘 조각들을 이어 붙여서 만든 갑옷으로,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재)강원고고문화연구원에서 하수관로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조사중에 출토되었다.

이번에 발견된 유물은 직사각형 형태로 동·서 방향으로 놓인 토광목곽묘에서 발견되었다. 지금까지 확인된 규모는 길이 약 3.05m, 폭 1.4m, 깊이 25cm 정도로, 바닥에는 지름 5~10cm의 작은 돌을 사용해 시상대를 마련했다. 시상대(屍床臺)는 무덤 내부의 바닥에 시신을 올려놓기 위해 마련된 구조물이다.

▲ 토광목곽묘 서쪽에서 발견한 찰갑과 신라 토기(장경호) 모습. (사진=문화재청)
이와 더불어 목의 뒷부분을 보호하는 목가리개(경갑, 頸甲), 어깨를 보호하는 어깨가리개(견갑, 肩甲)도 함께 확인되었다. 찰갑 옆에는 긴목항아리(장경호, 長頸壺), 짧은목항아리(단경호, 短頸壺) 등 신라 토기들과 금귀걸이 한 쌍이 함께 부장되었는데, 4세기 대 강릉지방에 주둔했던 신라 장수의 것으로 추측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395년(신라 내물왕 42년) 말갈이 북쪽 변방(현재 강릉 인근)에 침입해 신라가 크게 패했고, 450년(신라 내지왕 34년)에는 하슬라(강릉의 옛 지명) 성주 삼직(三直)이 고구려의 변방 장수를 살해했다고 한다. 이는 4∼5세기대 강릉지역을 중심으로 고구려와 신라 간에 국경 충돌사건이 빈번했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강릉지역에서는 많은 수의 신라 고분이 조사되었는데, 특히 초당동 고분군의 대형 석곽묘에서 금동관, 관장식(관식, 冠飾), 호접형(蝴蝶形, 나비모양) 금동 관모장식 등 신라 상류층의 물건들이 출토된 바 있다.

▲ 토광목곽묘에서 나온 금귀걸이 출토 현장. (사진=문화재청)
강원고고문화연구원은 “초당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찰갑은 이른 시기부터 신라가 강릉 지역을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인식해왔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자료”라면서 “신라의 영동지역 진출 시점과 의의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학술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IPN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