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지난 5월 9일부터 24일까지 서울 등 6개 시·도에 거주하는 일반 국민(13세 이상 60대까지의 남녀 1,000명)과 나노 관련 전문직 종사자(학계, 연구계, 기업, 시민단체 등 200명)를 대상으로 ‘나노 국민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나노기술의 발달로 나노물질과 이를 함유한 제품이 생활 전반에 걸쳐 사용이 확대되고 있고, 나노 안전성이 국제 환경회의에서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이에 나노 관리 정책방향 수립에 활용하고자 일반 국민과 나노관련 전문직 종사자의 나노에 대한 인지도, 이미지, 나노정보 신뢰도, 정책 요구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나노 인지도에 대한 조사결과, 일반 국민은 ‘나노’라는 말을 대부분(75.1%) 들어 보았으나, 나노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잘 모른다고 생각(87.4%)하고 있었다. EU권역 국민의 인지도가 평균 46%인 것으로 조사되었는바, 이와 비교할 때 우리나라 국민의 인지도는 매우 높은 편이었다.

 ※ 노르웨이(78%)>우리나라(75%)>스웨덴(75%)>네덜란드(61%)>영국(48%)>포르투갈(21%)

일반적으로 ‘나노’라고 하면, ‘나노기술’로 가장 많이 알고 있으며[일반 국민(65.8%), 전문직(84.0%)], 일반 국민은 대부분 ‘나노’의 의미를 잘 모른다(87.4%)고 생각하고 있었다.

나노에 대한 이미지 조사결과, 일반 국민과 전문직 모두 나노의 필요성, 성능 및 기술력의 우수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나, 안전성 및 환경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노제품, 정보 등에 대한 신뢰도 조사결과, 나노제품 효과에 대한 기대감은 높으나 일반 국민의 실제 구매경험은 낮은 편(21.0%)이며, 소비자정보 제공에 대해 불만이 높은 편[불만족도 : 일반 국민(30.9%), 전문직(18.9%)]으로 나타났다. 특히, 나노제품 중 유아용품과 용기에 대한 구매의사가 일반 국민(47.7%), 전문직(16.0%) 모두 가장 낮아 안전성에 대해 우려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 국민과 전문직 모두 나노관련 정보 중 안전성 정보가 가장 필요하다로 답변하였다. 나노관련 정보에 대해 국제기구와 전문가의 정보는 신뢰(일반 국민:70% 이상, 전문직:90% 이상)하나, 매스컴과 기업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낮았다.(일반 국민:70%이하, 전문직:35%이하)

전문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정책 요구사항 조사결과, 정책추진 우선순위로서 나노 관리를 위한 종합대책 수립(29.6%), 안전성평가 기반 구축(29.3%) 등을 꼽았다. 또한, 나노 관리에 필요한 의견 수렴결과, ‘나노’ 용어의 남발 제재, 나노 개념 정립(‘정의’ 마련) 등 정책기반 사항 및 나노 안전성 검증 요구와 나노에 대한 유해성 확대 해석으로 기술 개발이 저해되지 말아야 한다는 폭넓은 의견이 제시되었다.

환경부는 앞으로 이번 국민 인식도조사 결과를 토대로 나노에 대한 국민의 올바른 인식 함양을 위해 체계적인 정보제공 및 교육·홍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조사결과 매스컴, 기업이 제공하는 나노 정보에 대한 국민과 전문직의 신뢰도가 낮게 나타난 점을 고려하여 동 정보 주체들과 정보 교류 및 적극적인 정보제공 노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향후 국민의 나노 안전성과 환경영향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나노관련 정책수립시 안전성 및 환경영향 평가를 우선하여 고려하는 한편, 나노제품 정보 전달 등 소비자 요구사항을 관련부처와 협의할 예정이다. 특히, 전문직 대상 나노관리 정책 요구 조사결과를 현재 마련 중인 ‘범부처 나노안전관리 종합대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IPN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